[연습문제] 콜라 문제

2024. 12. 7. 18:00입문문제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67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열심히 풀던 상빈이는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생각했습니다.

이 문제는 빈 병 a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b < a ≤ n ≤ 1,000,000
  • 정답은 항상 int 범위를 넘지 않게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a b n result
2 1 20 19
3 1 20 9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본문에서 설명한 예시입니다.

입출력 예 #2

  • 빈 병 20개 중 18개를 마트에 가져가서, 6병의 콜라를 받습니다. 이때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콜라 병의 수는 8(20 – 18 + 6 = 8)개 입니다.
  • 빈 병 8개 중 6개를 마트에 가져가서, 2병의 콜라를 받습니다. 이때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콜라 병의 수는 4(8 – 6 + 2 = 4)개 입니다.
  • 빈 병 4 개중 3개를 마트에 가져가서, 1병의 콜라를 받습니다. 이때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콜라 병의 수는 2(4 – 3 + 1 = 2)개 입니다.
  • 3번의 교환 동안 상빈이는 9(6 + 2 + 1 = 9)병의 콜라를 받았습니다.

공병을 가져다주면 음료수를 주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복잡하게 꼰다면 추가로 가불 받아서 공병을 채우는 문제로도 난이도를 높일 수도 있지만, 이번에는 기본적인 문제라서 다행이네요.

기본적으로 생각해야 할 요소는 우리가 받는 병의 개수는 항상 (n // a) * b개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교환하고 남는 병은 (n % a)라는 점이죠.

받은 병을 마시면 공병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 n은 (n // a) * b + (n % a)로 갱신할 수 있습니다.

 

이 점을 사용해서 정답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1. C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clude <stdlib.h>

int solution(int a, int b, int n) {
    // 받은 병의 개수를 저장할 answer
    int answer = 0;
    // 남은 병의 개수를 저장할 leftover
    int leftover = n;
    // 남은 병이 a개 미만일 때까지 반복합니다.
    while (leftover >= a) {
        // answer에는 받은 병을 추가합니다.
        answer += (leftover / a) * b;
        // leftover에는 남은 병으로 갱신합니다.
        leftover = (leftover / a) * b + (leftover % a);
    }
    return answer;
}

 

2. 파이썬

def solution(a, b, n):
    # 받은 콜라의 개수
    answer = 0
    # 남은 빈 병이 최소 개수 a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while n >= a:
        # get은 a로 나눈 몫을 저장합니다.
        # 받는 병의 수 : (n // a) * b
        get = (n // a) * b
        # left는 a로 나눈 나머지를 저장합니다.
        # 남은 병의 수 : (n % a)
        left = n % a
        # answer에는 get을 추가합니다.
        answer += get
        # n은 get + left
        n = get + left
    return answer

 

이해를 위해 변수들을 사용했지만, 굳이 get, left를 사용할 필요 없이 두 줄로 축약이 가능합니다.

def solution(a, b, n):
    # 받은 콜라의 개수
    answer = 0
    # 남은 빈 병이 최소 개수 a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while n >= a:
        # 받는 병의 수 : (n // a) * b
        answer += (n // a) * b
        n = (n // a) * b + n % a
    return answer

 

이렇게 줄일 수 있죠.

'입문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습문제] 햄버거 만들기  (1) 2024.12.09
[연습문제] 옹알이 (2)  (2) 2024.12.08
[연습문제] 삼총사  (0) 2024.12.06
[연습문제] 숫자 짝꿍  (1) 2024.12.05
[연습문제] 직사각형 별찍기  (1) 2024.12.04